전체 글 (1891)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울시립미술관 로고 본문내용은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서울시립미술관의 아이덴티티(MI:Museum Identity)는 서울(Seoul)과 서울시립미술관(SeMA, Seoul Museum of Art)의 영문 첫 글자 S에 연결, 변화, 유연함의 가치를 담아 서울시립미술관이 '새로운 예술의 흐름, 새로운 S(New S)'를 만들어 가는 기관임을 나타냅니다.서울시립미술관의 MI는 사람, 예술, 미술관을 나타내는 단위가 연결하며 선을 이루고 이들 선이 다양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변주됩니다. 연결과 흐름에 따라 변주하는 시스템인 '새로운 S'는 서울시립미술관이 서소문본관이라는 단일 기관으로 출발한 이래 예술과 시대의 변화에 따라 분화하며 자라난 서울시립미술관 네트워크의 오늘을 담아냅니다. 20.. 국립현대미술관 로고 본문내용은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의 MI는 영문 Full Name인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의 이니셜 MMCA로 하여 소통의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디자인적 측면에서는 룰에 얽매이지 않은 비정형적인 조합을 통해 입체감과 공간감을 주는 동시에 진화하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미래의 창, 문화의 창'을 표현하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개관 반세기의 역사를 자랑하는 국내 유일의 국가현대미술관입니다. 서울관, 과천관, 덕수궁관, 청주관의 4관 체제에서 이제 대전관 신설로 5관 체제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미술관은 ‘확장과 연결’로 열린 미술관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 삶의 질을 높이고, 감동과 상상력의 충전소로 거듭 나.. 수원시립미술관 로고 본문내용은 수원시립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수원시립미술관 메인 로고는 "수원시립미술관"과 다채로움을 상징하는 3개 도형을 하나로 연결해 다양한 문화를 아우르는 미술관 본질을 표현합니다. 빈 공간을 통해 모던하고 미니멀한 미술관 이미지를 강조하고, 각 공간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예술 콘텐츠 표현하며 도형 크기를 다양하게 변주하여 유기적이고 개방적인 미술관 이미지를 강조합니다. 수원시립미술관은 행궁 광장에 위치한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만석공원에 자리한 ‘수원시립만석전시관 (구,수원미술전시관)’, 파장동의 ‘수원시립어린이미술체험관 (구,어린이생태미술체험관)’, ‘수원시립아트스페이스 광교’를 포함한 4개의 공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수원시립미술관은 각 관의 특색을 살린 다양하고 .. 소마미술관 로고 본문내용은 소마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소마미술관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소마미술관의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형성하는 중요한 기본요소이며, 소마미술관의 영문이니셜 SOMA를 조형의 가장 기본요소인 '원'을 분리 조합하여 디자인 하였습니다. 흐르듯 끊김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조합은 원이 가지는 항상성과 소통을 의미합니다. 세계의 조각 작품들과 조경이 조화를 이룬 692,367.2㎡의 조각공원 안에 자리 잡은 소마미술관은 서울 올림픽의 성과를 예술로 승화하는 기념공간이자 휴식공간입니다. 미술관에서 나와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조각공원의 황톳길을 따라 걷다 보면 조각 작품들과 자연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습니다. 창밖으로 조각공원의 전경이 펼쳐지는 개방적이고 확장된 공간이 되는 실내 전시공간을 갖춘 .. 부산시립미술관 로고 본문내용은 부산시립미술관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부산시립미술관을 상징하는 심볼은 ‘BMA’(Busan Museum Art) 워드마크 타입으로 글로벌 해양문화 관광 도시 부산의 대표미술관으로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고 시민과 소통·공감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BMA는 해양수도를 상징하는 바다와 부산시민과 예술을 이어주는 ‘Museum’을 BMA 내부에 수평선을 더하고 명도 조절을 통해 공간감을 나타내어 부산을 대표하는 예술 공간으로 표현하였으며, 시민과 예술을 이어주는 글로벌 해양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 예술공간을 상징한다. 1998년 개관한 부산시립미술관은 파도 모습을 닮은 건물의 외형을 통해 부산의 특성을 시각화하고 있다. 한국을 넘어 세계의 해양수도이자 국제관광도..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로고 본문내용은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성북어린이미술관은 미술의 조형요소를 즐겁게 경험할 수 있고 새로운 감각경험에 열려있는 곳입니다. 일상 속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도형인 세모, 네모, 동그라미는 어린이의 꿈이 자라나듯 평면에서 입체로 확장됩니다. 평면을 보며 입체를 상상하게 하고, 글자 속에서 기본 도형들을 찾아내게 하는 M.I는, 어린이들이 익숙한 것을 새롭게 바라보는 감각을 키우기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각 도형은 ’성북, 어린이, 미술관’ 각 단어의 첫 자음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성북어린이미술관 꿈자람은 미술의 조형 요소를 즐겁게 경험하고, 새로운 감각을 직접 느껴 볼 수 있고, 어린이는 물론, 꿈꾸는 모든 사람에게 일상 속 즐거운 감각의 놀이터가 되어줍니다... 소촌아트팩토리 로고 본문내용은 소촌아트팩토리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소촌아트팩토리의 CI는 산업단지 문화재생 1번가라는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체계화하였습니다. 소촌을 상징화한 붉은 글씨는 소촌아트팩토리 안에서의 새로운 비전과 위상을 효과적으로 상징하고 있습니다. 유휴공간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문화영토로서의 가치와 비전이라는 의미를 함의합니다. 소촌아트팩토리는 2014년 ‘산업단지 및 폐산업시설 문화재생사업’에 선정된 사업명 소촌아트팩토리(S.A.F.) 프로젝트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소촌농공단지 관리사무소와 민방위대피소로 쓰였던 과거의 건물들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홍보관 아시아문화마루에 쓰였던 컨테이너들이 덧대어져 새로운 문화재생공간으로 탈바꿈하였습니다. 삭막했던 산업단지에서 매력적인 문화예술 거점 공간으로 거듭난 소촌아..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로고 본문 내용은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의 새로운 로고타입은 대전시에 소재한 다섯 개의 구, 동구/중구/서구/유성구/대덕구를 별 모양의 형태로 상징화한 것이며 심벌 그래픽에는 손을 마주 잡은 사람들도 같이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대전시민의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이 함께한다는 결속력을 의미합니다.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은 효과적인 보건의료정책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공공보건의료인력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공공의료기관 의료 질 향상을 위한 기술 지원, 그리고 공공보건의료 지원조직과 다양한 연계협력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래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전광역시 공공보건의료지원단 ..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7 다음